그리고 mmpi는 질문지형 검사인데도 상당한 정도의 투사법적 함축성을 띠고 있으며, 검사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성 척도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자기보고형 검사가 가지는 한계점 중 피검자의 행동을 얼마나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피검자가 검사문항에 반응 할 때 얼마나 정직하고 솔직한 태도를 보이는가 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다. 여기서 각 척도들의 일반적인 해석 방향을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검사해석의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기 보다는 전문가와 내담자 간의 검사 해석상담 시간을 통해 검사결과에 대해서 신중한 해석이 내려져야 한다.
(1) 타당과 척도, 원판 mmpi에서 수검 태도의 평가를 위해서 네 개의 타당도 척도는 무응답 척도, 부인 척도, 비전형 척도, 교정 척도 이며 그리고 교정 척도는 mmpi-2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으며, 여기에 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고정반응 비일관성 척도, 비전형-후반부 척도, 비전형-정신병리 척도, 과장된 자기제시 척도가 더해졌다.
(2) 임상척도, 1hs 높은 점수는 만성적인 경향이 있는 모호한 여러 신체증상을 나타낸다. 높은 점수의 피검자들은 일반적으로 불행감을 느끼고 자기중심적이며 애처롭게 호소하고 또는 적대적이고 타인의 주의집중을 바란다
2d 우울한 기분, 자신에 대한 과소평가, 열등감을 반영한다. 높은 점수의 피검자들은 우울하고 풀이 죽어있고 비관적이고 근심이 많고 과민하고 무기력하며 지나치게 억제적이며 죄의식을 쉽게 느낀다. 점수증가는 심한 심리적 고통, 변화나 증상완화에 대한 소망을 반영한다.
3hy 높은 점수는 스트레스 처리에 있어서, 부정, 억압, 방어와 같은 신경증적 방어의 사용을 나타낸다. 이들은 의존적이고 소박하고 외향적이며 유아적이며 자기도취적이다. 대인과계는 흔히 깨지기 쉽고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하다. 높은 점수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관심이 부족함을 반영한다. 스트레스가 높을 때 신체증상이 나타난다.
4. pd 반항, 가족관계 분열, 충동성, 학업이나 직업문제, 범법행위,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 등 반사회적 행동을 나타낸다. 높은 점수의 피검자들에게 있어서 반사회적 성격장애가 흔하다. 이들은 처음엔 외향적, 사교적이며 남에게 홤을 주기도 하지만 남을 속이고 조정하며 쾌락에 탐닉하며 자기과시적이며 신뢰할 수 없고 미성숙하며 적대적이다. 공격적인 행위와 판단장애를 쉽게 보인다. 높은 점수는 쉽게 변화되기 어려운 장기적인 성격장애를 나타낸다.
5mf 높은 점수의 남성은 예민하고 탐미적이며 수동적이거나 여성적이다. 이들은 성적 정체감에 대한 갈등, 이성애적 욕구의 저하를 나타낸다. 낮은 점수의 남성은 남성적이고 공격적이며 거칠고 모험을 즐기고 무모하며 실질적이고 관심이 좁다. 높은 점수의 여성은 남성적이고 거칠며 공격적이고 자신감이 있고 감정적이지 않고 무디다. 낮은 점수의 여성은 수동적이고 복종적이며 호소를 쉽게하고 흠을 잡는 잔소리꾼이고 과민하다.
6pd 이 척도의 점수 상승은 의심많고 사람들과 거리를 두고 약삭빠르고 경계하며 안달하고 지나치게 과민한 특징을 반영한다. 높은 점수의 피검자는 투사하고 남을 비난하며 원망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적대적이거나 따지기를 좋아한다.
7pt 높은 점수는 긴장되고 불안하고 생각에 집착하며 강박적이고 공포를 느끼고 융통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들은 흔히 자기 비난을 하며 쉽게 죄의식에 빠지며 열등감과 부족감을 느끼며 지나치게 주지화, 합리화하는 방어기제를 사용하며 심리적 해석에 저항한다.
8 cs 높은 점수는 전통적인 규범에서 벗어나는 정신분열성 생활방식을 반영한다. 이들은 위축되어 있고 수줍어하고 우울학 열등감과 부족감을 니끼며 긴장되고 혼란되어 있다. 이들은 흔치 않는 이상한 생각을 품고 있다. 판단력 장애가 있고 적절하지 못한 정서반응을 한다. 매우 높은 점수는 현실검증장애, 기괴한 지각장애, 망상, 환각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일반상식이 부족하고 문제해겨 기술이 적절하지 못하다.
9ma 높은 점수는 사교적이며 외향적, 충동적 성향과 힘이 넘쳐흐르고 낙관적인 상태를 반영한다. 이들은 자유분방한 도덕관념을 갖고 있다. 들떠있고 지나치게 술을 마시며 과장된 자기평가를 하며 정서가 불안정하다. 참지 못하고 그들의 계획을 완수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들은 타인을 조정하고 자기 가치를 극대화한다. 매우 높은 점수의 피검자는 정서장애, 기괴한 행동, 부적절한 기분, 충종적 행동, 망상을 보인다.
0 si 높은 점수는 내향적이어서 수줍어하고 위축되어 있다. 사회적으로 보수적이고 순종적이며 지나치게 억제적이고 무기력하고 순응적이며 긴장되고 융통성이 잆고 죄의식에 잘 빠지는 상태를 반영한다. 낮은 점수의 피검자들은 외형적이고 쾌활하며 자기표현을 잘하고 공격적이며 말이 많고 충동적이며 억제하지 않는다. 자발적이고 타인을 조정하며 기회주의적이고 사회관계에서 진지함이 결여되어 있을 수 있다.
(2) 다요인 인성검사 다요인 인성검사는 r.b cattell이 제작한 16성격요인검사를 토대로 한국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며 제작한 것이다. 자기보고식 검사인 16성격요인검사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검사 가운데 하나이며, 거의 모든 성격범주를 포함하고있어 일반인들의 성격이해에 매우 적합한 검사이다.
'성격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4 (mbti) (0) | 2022.06.23 |
---|---|
셩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3 (0) | 2022.06.22 |
생물학과 환경의 상호작용, 2장 성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0) | 2022.06.20 |
성격의 결정 요인 (0) | 2022.06.19 |
성격의 어원과 정의 2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