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격심리학

생물학과 환경의 상호작용, 2장 성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by 호짱~ 2022. 6. 20.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 쌍둥이도, 동일한 가정환경에서 성장한 형제도 성격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성격이 생물학적인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 중 어느 한 가지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인의 기질이나 신체적 특징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들은 개인이 접하게 되는 환경, 즉 개인이 무엇을 경험하는지, 또 얼마나 경험하는지를 제한함으로써 성격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생물학적이고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개인의 독특한 트겅은 그 자체가 성격을 결정한다기보다는 성장과정에서 개인의 경험의 종류와 내용을 다르게 함으로써 개인의 독특한 성격 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이다. eysenk는 '개인 유기체의 행동은 생물학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며, 이 두 요인 가운데 한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은 과학의 발달을 저해하는 것' 이라고 하였다. 대부분의 성격이론가들에 의하면 성격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개개인의 생물학적인 바탕과 성장과정에서의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라는 것에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즉 개인의 성격을 타고난 유전적 조건들과 성장하면서 경함하게 되는 환경적 조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1. 성격의 평가방법, 성경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관찰법, 면접법, 자기보고식 검사법, 투사적 검사법 등이 있다. 여기에서는 이런한 방법들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며, 더하여 임상장면에서 진달을 위하여 실시하는 표준검사 배터리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1) 관찰법, 일반적으로 관찰법은 자연과학에서 이용되는 방법으로 자연 발생적인 행동이나 사태를 자연 상태 그대로 자세히 관찰해서 과날한 내용을 기록하고 피험자의 내면의 상태나 경험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관찰을 통한 행동 분석은 행동의 변화를 나타내는 반응과 그것의 선행조건들을 확인함으로써 행동을 환경조건의 함수로 보는 것이다.

2) 면접법, 면접법은 성경을 연구하는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정신역동적 연구 및 평가에서 가장 선호되는 연구방법이다, 면접법은 신뢰도, 타당도에 있어서 많은 한계가 있으나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자기보고식 검사법, 개인의 성격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할 때 사용되는 가장 용이하고 일반적인 검사방법이 자기보고식 검사이다. 검사를 받고자 하는 사람이 자신의 행동이나 마음의 상태를 스스로 진술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겅격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즉 과제가 구조화되어 있고 채점과정이 표준화 되어 있으며 해석의 규준이 제시되어 있는 검사를 말하는데, 이는 검사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특징영역에 대해 초점화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검사이다. 평가하고자 하는 특정 재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일정한 방식에 따라 응답되고 해석된다. 따라서 개인의 독특성을 끌어내려하기보다는 개인마다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이나 차원을 기준으로 하여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거나 평가하겨는 것이다. 이 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높고 반복측정이 가능하며 실시 및 채점, 해석이 용이하다는 장저으로 인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기보고식 검사는 자신이 자신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나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솔직하고 성실하게 응답을 한다면 무엇보다도 효과적인 성격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행동이나 마음의 생태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의 여부는 각 개인별로 한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대표적인 자기보고식 성격검사에는 mmpi가 있다. mmpi는 정신과적 진단 분류를 위한 검사이지만 정상인의 행동 설명과 일반적인 성격특성에 대한 유추가 어느정도 가능핟. 개인의 성격 특징의 비정상적인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함은 물론이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을 진전될 가능성을 미리 찾아내서 적절한 도움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검사이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에서 성격의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자기보고식 검사에는 다요인 인성검사, 표준화성격검사, 간편mmpi, mbti등이 있다.

(1)mmpi : mmpi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객관적 성격검사로서, 1940년대에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심리학자인 s.r. hathaway와 정신과 의사인 j.c. mckinley에 의해서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 이 검사는 정신과적 진단분류를 위한 측정을 하기 위한 것이며, 일반적인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병리적 분류의 개념이 정상진의 행동과 비교될 수 있다는 전체하에 mmpi를 통한 정상인의 행동 설명 및 일반적 성격 특성에 관한 유추도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다. 즉 mmpi는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하기 위함은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증상이 진전될 가능성을 미리 찾아내어 예방 및 지도책을 도모하기 위한 검사이다. 1990년대 초반에 개정 보완된 검사는 원래 규준집단에 비해서 전체적인 모집단을 더 적절하게 대표하고 잇는 mmpi-2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mmpi-a로 나뉘어졌으며 수기식 혹은 컴퓨터 방식을 쉽게 실시하고 채점할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심리검사이므로 자격을 갖춘 전문가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두고 있다.

'성격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셩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3  (0) 2022.06.22
성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2  (0) 2022.06.21
성격의 결정 요인  (0) 2022.06.19
성격의 어원과 정의 2  (0) 2022.06.13
성격의 어원과 정의  (0) 2022.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