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현장에서의 독자적인 적응을 결정하는 역동성 동일한 사태에 대해서 A는 아죽 저극적인 태도로 행동을 하는가 하면 B는 꽤 소극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성격은 동일 환경에 대한 개인의 특색 있는 적응방식과 독자성을 규정짓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다. 개인의 행동에 독자적인 일관성이 흐르고 있는 것은 개읜 욕구체계에 자기특징의 동기유발이 작용한 데서 오는 결과이기도 하며, 개인마다 달리하는 지각판단과 행동의 기준이 되는 준거체제(frame of reference)가 주는 영향 때문이기도 하다. 즉 동일한 여건 하에서도 개인의 욕구체계를 보면, A는 성취동기가 강렬하고 B는 안전의 욕구가 강렬하기 때문에 각기 독자적인 적응을 하게 된다. 또 동일한 현상에 대해서 A는 긍적적인 시각에서 판단을 내리고 B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판단을 내려 각기 독자적인 적응을 하게 된다.
(4) 행동특징의 집합이 아니라 융합과 구조 앞서 성격은 개인의 독특한 반응을 결정하는 심리학적 제 조건인 개인 내부의 역동적 체제라고 하였다. 여기서 체제란 동일적인 조직을 뜻하며, 개인의 특성의 융합과 구조를 뜻한다. 이를 ㅔ면, 동일 아동이 연하의 어린이게네는 지배적이고 연장자에게는 복종적인 태도를 보일 때, 이것은 일견 모순된 두 개의 행동이라고 볼 수 있으나, 사실은 열등감이라고 하는 공통된 심리의 역동적 구조로부터 일어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열등감이 심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강자에게는 약한 모습을 약자에게는 강한 모습을 보이려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행동의 특성을 열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성격특성의 구조를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구조적 개념' 으로서 성격을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형태주의 심리학의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다'라는 기본가정과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5) 행동을 설명하는 매개변수이며 가정적 개념 행동의 기본적 경향성으로서의 성격은 독립변수로서 간주되는 사회상황 및 유기체의 제 조건과 종속변수인 개인행동의 독자성과의 관련성을 유효하게 설명하는 데 필요한 매개변수(intervening variable)이다. 성격심리학의 핵심도 바로 이 매개변수(습관, 동기, 욕구 등)를 규명하는 데 있으며, 이들 삼자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있다. 한편 성격(personality)과 혼동하기 쉬운 용어로는 인격과 기질이 있다. 우선 인격(character)은 사회의 도덕적 가치에 의해서 평가된 성격(evaluated personality)이다. 따라서 성격은 인격의 중핵적인 요소이며, 성격을 포함해서 조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행동을 하는 그 사람의 모든 경향(tendencies)의 총체적인 내용을 말한다. Allport가 "Character is personality evaluated, and personality is character devaluated"라고 한 말은 바로 personality와 character와의 차이를 잘 말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기질(temperament)은 개인의 정서적인 특징을 말하며, 이 특징 속에는 자극에 대한 흥분성, 반응의 강도와 속도, 기분의 질과 동요와 강도의 특이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기질도 인격의 일면을 형성하는 중요한 하위개념이며, 성격의 패턴이 만들어지는 일종의 재질(rawmaterial)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겅격을 떠나서 기질이 있을 수 없고 또 기질을 떠난 성격도 있을 수가 없음을 알 수가 있다. 이상에서의 내용을 종합하면 성격이란 비교적 일관되고 안정적이면서도 변화가 가능한 역동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는 각 개인의 독특한 성질로사,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정희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제기하였듯이 심리학자들이 각기 자신의 입장에 따라 성격에 대하여 연구를 하고 개념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본 교재에서는 성격분야의 대가들이 집성한 성격에 대한 의미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면서 성격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성격심리학이란?
심리학은 인간의 정신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며 인간의 정신과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성격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개인에게서 나타나는 지속적이며 일관적인 특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성격을 연구하게 되면 일관되고 안정적인 개인차를 규명함으로써 사람들을 설명할 수 있고 그들의 미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이 사고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특징적인 방식에서의 일관되고 안정적인 개인차를 규명하는 것은 성격심리학의 중요한 목표이다. 또한 개인차를 면밀히 조사하는 것에 대해서, 성격심리학자들은 이러한 개인차에 기저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즉 사람들에게서 관찰된 심리적 차이를 설명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즉, 성격심리학은 성격적인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진단, 설명, 해결, 예측할수있는 개념과 법칙 및 이론을 규명함과 동시에, 성격의 합리화와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심리학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학문이다. 성격심리학은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학문이지만 사람들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한 때부터 출발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격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셩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3 (0) | 2022.06.22 |
---|---|
성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2 (0) | 2022.06.21 |
생물학과 환경의 상호작용, 2장 성격의 평가 및 연구방법 (0) | 2022.06.20 |
성격의 결정 요인 (0) | 2022.06.19 |
성격의 어원과 정의 (0) | 2022.06.12 |